반응형
안녕하세요. BlockDMask 입니다.
오늘은 Internet 주소체계 / MAC 주소와 IP 주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1. MAC 주소 (Media Access Control Address)
- MAC 주소는 데이터 링크 계층(+물리 계층)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(보통 NIC에) 할당된 고유 식별 주소, 고유 식별자.
- 이더넷 하드웨어 주소(Ethernet hardware address), 물리적 주소, 물리 주소, 하드웨어 주소(Hardware address) 라고도 불립니다.
- MAC 주소의 구체적인 소유자는 노드, 즉 인터페이스 입니다.
흔히들 말하는 MAC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(NIC 카드)를 만든 회사에서 할당하여 하드웨어에 저장됩니다. 이는 다른 MAC 주소와 겹치지 않는 고유의 주소를 할당 합니다.
- 표준 MAC 주소는 총 48비트(6 bytes)로 구성되어있습니다.
표현방법은 8bit(1bytes) 단위로 끊어서 총 6개의 자리를 ':'을 이용하여 구분합니다.
16진수 표현법을 사용합니다. (Hexadecimal)
ex) 11:32:FF:2C:4B:AB
이 중 Mac address의 앞 3byte(24bit)는 제조사(vendor)를 구분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. (제조업체 식별코드 - Organization Unique Identifier : OUI) - MAC address는 48bit의 주소 공간이므로 2^48 개의 사용가능한 MAC address 를 만들 수 있습니다.
- Unicast, Multicast, Broadcast address
- Unicast : Mac address의 첫번째 바이트의 Least Significant Bit(LSB- 최하위 비트)가 0인 경우, frame이 하나의 수신중인 NIC에만 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(목적지가 하나인 것)
- Multicast : 첫번째 바이트의 최하위 비트가 1인 경우, frame은 한번만 전송하고 목적지가 여러개 라는 것을 뜻합니다.
- Broadcast : Mac address의 모든 bit가 1인 경우를 말합니다. 16진수로 표시하면 FF:FF:FF:FF:FF:FF를 말합니다. 이는 모든 대상에게 frame을 전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- 왜 LSB 부터 읽는가......???
**이건 음.. 정확하지 않지만.- 그냥 규칙인가;
**네트워크에서 데이터(패킷) 전송을 한 바이트 단위로 빅엔디안(Big-endian) 규칙에 맞게 전송을 합니다.
**그렇게 한바이트씩 자른 데이터를 읽을때에는 비트의 제일 오른쪽 부터 읽기 때문???? -아 이거 모르겠는데;;
**자료 조사 후 제대로 기입하겠습니다. - MAC address는 네트워크에서 frame들을 특정 호스트를 위해 구별 할 수 있게 해줍니다.
2. IP 주소(Internet Protocol address)
- IP address - 호스트나 라우터 장비의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32 bit 의 주소입니다. 이 주소를 통해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할 수 있습니다.
**현재 사용하고 있는 IPv4는 32bit의 주소공간을 가집니다.
**현재 도입하고 있는(이미 되었지만 잘 사용하지 않는)...IPv6는 128bit의 주소공간을 가집니다. 32 bit의 주소 공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2^32 의 개수의 IP주소를 가질 수 있지만, IP 주소 할당은 규칙이 존재합니다.
IP address 표기법
- dot-decimal notation(점-10진표기법) : 32비트를 한 byte 씩 끊어서 각 byte를 점으로 구분하고 0~255 사이의 숫자로 표기합니다. (ex. 192.168.107.11)전역 유일성(Global uniqueness) - 하나의 IP 주소는 같은 시간에 다른 인터페이스에 할당 될 수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
동적 할당(Dynamic assignment) - IP주소는 동적을 할당됩니다.(항상 고정 IP는 아닙니다)
<출처>
반응형
'<개인공부> > [데이터 통신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데통] 왜 OSI 7계층을 나누었을까? (0) | 2017.11.20 |
---|---|
[데통] Port 번호 에 대해서 (3) | 2017.10.20 |
[데통] ARP protocol 에 대해서 (4) | 2017.10.20 |
[데통] CIDR - 사이더 (비클래스형 IP 주소할당방식) (0) | 2017.10.20 |
[데통] OSI 7계층과 TCP/IP 4계층, 계층별 데이터 단위 (1) | 2017.10.19 |
[데통] 프로토콜(Protocol) 이란? (0) | 2017.10.18 |
[데통] Wireshark (와이어샤크) 사용방법 (0) | 2017.10.17 |
[데통] Wireshark 란? (+설치방법) (0) | 2017.10.16 |